보통 윈도우 10 이상의 OS를 사용하는 분들은 자체적으로 제공되는 엣지 브라우저를 사용하지만 주요 목적이 인터넷 서핑이나 콘텐츠 이용이라면 서드 파티 브라우저를 설치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오늘은 크롬 브라우저 사용 시 단축키를 이용해서 타 검색 엔진의 결과를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크롬 검색 엔진 단축키 및 키워드 설정
- 크롬 검색 엔진 단축키 사용 방법
- 참고사항
#크롬 검색엔진 단축키 및 키워드 설정
[1]
크롬 브라우저 사용 시 메인 웹 페이지인 구글의 검색 결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 네이버의 검색 결과를 보려면 별도의 탭을 열고 네이버에 접속 후 서치해야 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많은 숫자의 탭이 쌓여 헷갈리게 됩니다.
따라서 지금부터 소개할 설정을 적용하면 크롬 브라우저에서도 타 검색 엔진의 결과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크롬을 실행하고 우측 상단의 점 세 개를 클릭한 뒤 '설정'> '검색엔진' 순서로 이동합니다.
[2]
'주소 표시줄에서 사용되는 검색엔진'이 구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 뒤 '검색엔진 관리'로 들어갑니다.
[3]
우선 단축키 항목을 'Tab' 키로 설정하고 기본 검색 엔진으로 적용된 항목 끝에 있는 점 세 개 아이콘을 눌러서 '키워드'를 변경합니다. 이때 해당 웹 사이트를 기억하기 쉬운 단어로 설정해 줍니다.
예를 들어 DAUM의 검색 엔진의 결과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크롬 브라우저 주소 표시줄에 설정한 키워드를 입력하고 'Tab' 키를 누른 다음 '검색하고 싶은 단어 + Enter 키'를 누르면 DAUM의 검색 결과만 표시됩니다.
따라서 '기타 검색엔진' 항목에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의 URL과 키워드 항목을 설정하면 훨씬 나은 서치 환경을 갖출 수 있습니다.
#크롬 검색 엔진 단축키 사용 방법
[1]
단축키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크롬 브라우저로 유튜브 시청 중 '라면 맛있게 끓이는 방법'에 대한 네이버의 검색 결과를 보고 싶다면 주소 표시줄에 '설정한 네이버 키워드 + Tab 키 + 라면 맛있게 끓이는 방법 + Enter 키'를 사용하면 됩니다.
검색 엔진의 키워드 입력 후 'Tab' 키를 누르면 돋보기 표시와 함께 파란색 글자로 고정됩니다.
[2]
크롬 단축키로 네이버의 검색 결과를 확인한 모습입니다.
이제부터는 새 창을 열어서 별도로 타 검색 엔진 페이지에 접속하지 않아도 됩니다.
#참고사항
이 포스팅에서는 크롬 브라우저에서 구글의 검색 결과 대신 타 검색 엔진의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다뤘습니다.
만약 단축키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설정한 검색 엔진의 키워드를 한글에서 영어로 바꿔주면 됩니다. 웬만하면 해당 웹 사이트 방문 시 주로 검색하던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크롬을 메인 브라우저로 사용하는 티스토리 블로거들은 무조건 설정해야 하는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구글 크롬 사용시 뒤로가기 설정 방법"ㅡ 확장 프로그램.
익스플로러 브라우저에 익숙한 분들은 헤이지 뒤로가기를 위해 습관적으로 백스페이스 버튼을 누르게 됩니다. 하지만 크롬에서는 해당 버튼이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일일이 마우스로 클릭해서
tge-20.tistory.com
"크롬 브라우저 사용 팁(2)"ㅡ웹 스토어 확장 프로그램 검색 안될 때.
크롬 브라우저는 인터넷 사용을 편리하게 도와주는 다양한 확장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사용이 익숙해지면서 웹 스토어를 자주 둘러보게 되는데 만약 특정 프로그램을 검색했을 때 결과 없음
tge-20.tistory.com
"크롬 브라우저 사용 팁(12)"ㅡ구글 검색 결과를 새 탭으로 여는 방법.
네이버나 다음 웹 사이트의 경우 검색 결과를 클릭하면 새 탭으로 확장되는 반면에 구글은 현재 탭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검색 시 여러 개의 탭을 동시에 열어두기 위해 새 창을 실행해야 하는
tge-20.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