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유급휴가에 관한 포스팅을 진행하면서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추가 내용을 필요로 하셔서 정리 중에 있습니다.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연차 발생 시점과 미사용된 부분에 대한 수당 및 퇴직금 포함 여부, 3년 이상의 장기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연차유급휴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연차유급휴가 발생 시점과 미사용 수당 지급 여부
- 퇴직 시 미사용 연차수당 및 퇴직금 포함 여부
- 3년 이상 장기근로자의 연차
- 참고사항
#연차유급휴가 발생 시점과 미사용 수당 지급 여부
연차유급휴가 발생 시점은 회사의 취업규칙과 운영방식에 따라 회계연도(매년 1월 1일)와 입사일로 그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내용이지만 발생 시점을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다시 한번 정리하겠습니다.
상시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에서 1년간 출근율 80% 이상 달성 시 연차유급휴가. (회계연도 기준)
입사 일 : 2021년 1월 1일
퇴사 일 : 2022년 1월 2일
2021년 1월 1일 ~ 12월 31일까지 - 첫 달을 제외한 11일의 연차유급휴가 발생.
2022년 1월 1일 출근 시 - 1년 치 15일의 연차유급휴가 발생.
입사 후 한 번도 사용하지 않았다면 2년 차에 26일의 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하고 1년간 사용 가능.
정해진 기간 동안 사용한 연차유급휴가를 차감한 잔여 일수에 대해 사업주는 미사용 수당으로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도 퇴사할 경우에는 남아 있는 연차유급휴가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마지막 근무일을 기준으로 미사용 부분에 대해 퇴사 시 수당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 시 미사용 연차수당 및 최직금 포함 여부
2022년에 퇴사하는 경우 정산 시기에 관계없이 2021년에 지급된 연차 중 사용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수당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2022년에 지급된 연차의 미사용 부분은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예시. (회계연도 기준)
입사 - 2020년
퇴사 - 2022년
2021년에 지급된 연차 - 2020년에 80% 이상 출근율로 발생.
2022년에 지급된 연차 - 2021년에 80% 이상 출근율로 발생.
따라서 최소 2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적용 가능한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미사용된 연차유급휴가에 따른 수당을 계산한 뒤 그 값을 12로 나누고 3을 곱한 금액이 퇴직금 산정 시 평균임금에 포함됩니다.
*평균임금 - 퇴사 전 3개월간 근로자에 대해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
"2022년 연차수당, 지급기준과 예시를 통한 계산 및 미지급 신고 방법"
최저임금 상승은 인력 채용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고 소규모 사업체의 경우 정당한 수당도 지급하지 않으려는 꼼수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정해진 급여를 받는 것 외에 우리가
tge-20.tistory.com
#3년 이상 장기근로자의 연차유급휴가
예시. (회계연도 기준)
입사일 : 2018년 5월 7일
퇴사일 : 2022년 2월 10일
3년 이상 근무하였으므로 2022년 1월 1일 기준으로 16일의 연차유급휴가 발생.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명시된 연차유급휴가의 내용을 토대로 근속연수 2년마다 1일을 추가로 지급하게 됩니다. 따라서 3년 이상 근무한 경우 16일이 발생합니다.
이후 5년, 7년, 9년 등 홀수에 해당하는 연도마다 1일씩 추가되며 최대 25일을 한도로 합니다.
#참고사항
이 포스팅에서는 연차유급휴가의 발생 시점과 미사용 부분에 대한 수당 지급 여부, 퇴직금 포함 여부까지 함께 다뤘습니다.
회사마다 다른 운영 방식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예상했던 퇴직금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퇴직을 앞두고 계신 분은 이 포스팅의 링크를 통해 급여 명세서를 옆에 두고 정확한 계산을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상근로자, 단기간 근로자의 연차수당 계산 시 차이점과 예시"ㅡ소정근로시간.
2022년 2월 7일 자 포스팅에서 연차수당의 큰 틀에 대해 작성했고 여러 가지 문의하신 내용을 검토한 결과 추가적인 내용을 다뤄야겠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는 연차수당 계산
tge-20.tistory.com
"퇴직금 총정리! 지급기준과 기한, 계산방법"ㅡ네이버 계산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직 또는 퇴직을 앞두고 다니고 있던 직장을 그만둘 경우에 내가 퇴직금 지급 기준에 맞으면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 볼 수 있는 방법과 기타 사항에 대
tge-20.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