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처럼 웹 서핑을 하다가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저장했지만 기존 이미지 파일의 확장자가 아닌 JFIF로 지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해당 확장자를 JPG로 변환하는 방법과 레지스트리 데이터 값 수정, Windows 업데이트 제거를 통한 설정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이미지 파일 형식
- 그림판 활용
- 다수의 JFIF 파일 일괄 변환
- 레지스트리 데이터 값 수정
- KB5001330 업데이트 삭제
- 참고사항
#이미지 파일 형식
다양한 이미지 파일 형식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PNG 또는 JPG 형식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주로 단순한 배경이나 일러스트 등의 이미지는 PNG로, 많은 컬러가 섞인 해상도를 가진 파일은 JPG로 사용하게 되며 이는 파일 용량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PNG에 비해 약 2배 정도 용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업로드 시 불편함을 줄이고자 JPG 확장자를 사용하게 됩니다. 사실 눈으로 보면 두 파일 형식에서 화질의 차이를 거의 느낄 수 없습니다.
JFIF(JPEG File Interchange Format)는 과거 디지털카메라에서 많이 사용되던 파일 형식으로써 JPEG와 같은 선상이기 때문에 그냥 사용해도 되지만 그렇게 호환성이 뛰어난 확장자가 아니기 때문에 변경을 필요로 할 때가 있습니다.
#그림판 활용
Windows 그림판에서 해당 확장자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파일의 수가 많지 않다면 그림판 실행> 파일 열기>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이용해서 원하는 확장자로 변경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장된 숫자가 많아서 일일이 적용하기 힘들다면 다음의 일괄 변환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수의 JFIF 파일 일괄 변환
[1] 아래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PicPick' 검색 후 설치합니다.
픽픽(PicPick) - 올인원 그래픽 디자인 도구 (화면 캡처, 이미지 편집, 색상 추출, 눈금자, 각도기,
픽픽(PicPick) - 올인원 그래픽 디자인 도구 (화면 캡처, 이미지 편집, 색상 추출, 눈금자, 각도기, 십자선 등)
picpick.app
[2]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 뒤 '열기'를 눌러서 변환할 파일을 모두 선택하고 위 사진에 표시한 '일괄 선택'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3]
이어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 '모든 파일 저장' 순서로 이동하면 선택된 이미지의 수량과 함께 변환할 파일 형식과 저장 폴더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원하는 형식으로 지정한 뒤 확인을 누르면 모두 한번에 변환되며 이때 해당 옵션에서 파일 이름을 따로 입력하지 않았다면 이미지 1, 이미지 2 등으로 저장됩니다.
이 방법을 통해 이미 저장된 JFIF 파일을 변환할 수 있지만 차라리 시스템에서 문제가 된 부분을 찾아서 JPG 형식으로 다운로드되도록 수정할 수 있습니다.
#레지스트리 데이터 값 수정
해당 시스템 오류를 발생시킨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Windows 보안 관련 업데이트를 꼽을 수 있기 때문에 업데이트를 삭제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된 업데이트 항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미지 파일 형식의 레지스트리 데이터 값만 초기화해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HKEY_CLASSES_ROOT\MIME\Database\Content Type\image/jpeg
Windows 화면 좌측 하단 검색창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 뒤 위의 경로로 이동해 줍니다. 다음으로 'Extension'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수정'을 눌러서 현재 '.jfif'인 데이터 값을 '.jpg'로 변경하면 완료됩니다.
#KB5001330 업데이트 삭제
앞서 레지스트리 편집 방법을 적용했음에도 시간이 지나면 레지스트리 데이터 값이 다시 JFIF로 변경되는 증상을 겪는 분들은 업데이트 번호 KB5001330을 삭제해 보시기 바랍니다.
해당 업데이트는 특정 상황에서 PC에 프레임 드롭 문제를 유발하며 내부 시스템끼리 충돌을 일으키게 해서 Windows 속도를 저하시키는 만큼 설치되어 있다면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윈도우 로고 키 + R'로 실행 창을 불러온 뒤 wusa.exe /uninstall /kb:5001330 입력(슬래시 앞 한 칸 띄기) 하면 해당 업데이트가 제거되며 이후 컴퓨터를 재부팅해 주시면 됩니다.
#참고사항
이 포스팅에서는 이미지 다운로드 시 JFIF 형식의 확장자로만 저장될 경우 해결 방법에 대해 다뤘습니다.
평소 PC로 게임을 자주 즐기는 분들의 경우 프레임 드랍이 문제를 겪고 있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래픽 카드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바로 위 섹션의 Windows 업데이트를 반드시 제거하시기 바랍니다.
"컴퓨터가 자동으로 재부팅될 때 순서별 확인사항"ㅡ윈도우 10 시스템 오류.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한 분들도 많지만 아직 호환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대다수는 윈도우 10을 사용하고 있는데 가끔 원인을 알 수 없는 파일의 증발, 스피커 인식 불가 등 시스템 오류 문제
tge-20.tistory.com
"갑자기 프린터 인쇄가 안될때 확인사항"ㅡ윈도우 보안 업데이트.
예전부터 윈도우10을 사용하고 있는 분들은 오류를 동반한 KB4524244, KB4532693 KB5004945 패치가 설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해당 업데이트 제거 방법과 윈도우 자동 업데이트 끄기 방법까지
tge-20.tistory.com
댓글